저궤도 10

우리나라,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추진(4.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은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과제의 총 3개 세부과제별* 주관연구개발 기관을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총괄/세부1) 저궤도 위성통신 탑재체 및 지상국 핵심기술 개발 (세부2) 저궤도 위성통신 단말국 핵심기술 개발 (세부3) 저궤도 통신위성 본체 및 체계종합 개발 세부1 과제인 통신탑재체/지상국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세부2 과제인 단말국은 ㈜쏠리드, 세부3 과제인 본체/체계종합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각각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위성시스템 및 체계종합과 같은 대규모 시스템 개발사업의 경우 각 연구기관간 긴밀한 협력관계가 필수적인 만큼 ETRI(세부1 과제 연구개발)를..

우주와 위성 2025.04.29

글로벌 스타(Globalstar)와 스타링크(Starlink)

글로벌스타(Globalstar)는 미국의 위성 통신 기업으로, 저궤도 위성(LEO, Low Earth Orbit)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성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991년에 설립되었으며, 모바일 위성 서비스(MSS, Mobile Satellite Service)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1. 글로벌스타 특징위성 네트워크:48개 작동 위성과 4개 예비 위성을 운영(2023년 기준).지구 저궤도(LEO, 약 1,400km 고도)에서 운용됨.주요 서비스:위성 전화, 데이터 전송, IoT(사물인터넷) 연결.응급 구조 서비스(예: SPOT 장비를 통한 긴급 구조 요청).원격 지역(바다, 산악 지역)에서도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고객 및 파트너:군사, 항공, 해양, 에너지 산업, 개인 ..

우주와 위성 2025.04.01

우리나라 위성통신 서비스 법적근거 마련-스타링크 6월 상륙(3.28)

정부는 지난 25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도입 및 위성통신 단말 개설 절차 간소화 등을 골자로 한 전파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번 전파법 시행령 개정안은 위성통신 단말기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기존 위성통신망에서는 단말기 개설의 허가나 신고 절차를 소비자가 직접 해야 했지만 이번 시행령을 통해 과기정통부는 사업자, 다시 말해 스타링크가 대신 허가를 받으면 되는 허가의제를 도입했다.  시행령 개정은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도입에 따른 위성통신 시장 확대에 대비한 것이다.  선박·항공기 등에서 고속 위성통신을 사용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지상 통신망을 보완하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됐다. 과학기술정보..

우주와 위성 2025.03.29

(Update 3.30) 유럽 최초 로켓 발사 40초만에 추락

독일에 본사를 둔 Isar Aerospace는 3월 24일 월요일에 새로운 Spectrum 로켓의 첫 발사를 추진하였으나, 바람 때문에 무산되었다가, 현지 시간 30일 낮 12시 30분쯤 노르웨이 북극 아뇌위아 우주항에서 발사됐지만 약 40초 만에 추락하며 폭발했습니다.  유럽 대륙에서 발사되는 최초의 궤도 로켓이 곧 첫 발사를 앞두고 있었습니다.   스펙트럼 로켓은 3.24일 월요일 오전 7시 30분(동부 표준시 11시 30분)부터 오전 10시 30분(동부 표준시 14시 30분)까지 3시간 동안 노르웨이의 안두야 우주발사장에서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발사장의 날씨로 인해 오늘의 시도는 무산되었습니다.로이터·AFP·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무인 로켓 '스펙트럼'은 현지 시간 30일 낮 12시 30분쯤 노르웨..

우주와 위성 2025.03.25

인공위성의 궤도와 속도 및 재방문주기

인공위성의 궤도, 속도, 재방문주기(revisit time)는 위성의 용도와 미션에 따라 다르게 설계됩니다 1. 인공위성의 궤도(Orbit)인공위성의 궤도는 크게 **저궤도(LEO), 중궤도(MEO), 정지궤도(GEO), 타원궤도(HEO)**로 나뉩니다.(1) 저궤도(LEO, Low Earth Orbit)고도: 약 200~2,000km특징: 지구 가까이 있어 고해상도 이미지 촬영 가능, 속도가 빠름용도: 지구 관측, 정찰, 통신(스타링크), 우주정거장(ISS)📌 예시:          - 국제우주정거장(ISS): 고도 400km, 속도 약 7.66km/s        - 스페이스X 스타링크: 고도 550km        - 한국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호): 고도 685km, 재방문주기 약 11일(2)..

우주와 위성 2025.03.19

중국, 창정 2호 로켓으로 4D 가오징 3호 02 위성 발사 성공(3.15)

2025년 3월 15일 오후 12시 11분(현지시간), 중국 간쑤성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 2호 정(丁) 운반로켓을 이용해 4D 가오징(高景) 3호 02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습니다. 이 위성은 중국의 상업용 원격탐사 위성 시스템의 일환으로, 고해상도 광학 및 레이더 이미지를 제공하여 자연 자원 관리, 도시 안전, 응급 관리, 해양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입니다.=================================================================4D 가오징(高景) 3호 02 위성 개요1. 개요4D 가오징 3호 02 위성은 중국이 개발한 상업용 원격탐사 위성으로, 고해상도 광학 이미지 및 다중 스펙트럼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우주와 위성 2025.03.16

우주의 경계 : 대기와 우주영역, 우주궤도

지구의 대기와 우주 영역은 여러 층으로 구분되며, 각 층마다 다른 특성을 가진다. 지구 대기권은 가스상태의 기체층에 둘러 쌓여 있는데, 지표면에서 120km까지는 산소(20%), 질소(80%) 등의 가스가 집중되어 있고 그 이상에는 가벼운 원소이 헬륨과 수소가 있다.  ① 지구 대기권 (Earth’s Atmosphere)대류권 (Troposphere)고도: 0 ~ 12km (지역에 따라 다름, 평균 10~12km)특징: 인간이 생활하는 층, 기상 현상이 발생하는 곳 (비, 구름, 바람 등).대류현상이 활발하고, 고도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짐.일반적인 여객기는 10~12km에서 비행.성층권 (Stratosphere)고도: 12 ~ 50km특징: 오존층(Ozone layer)이 존재하며 자외선을 흡수하여 ..

우주와 위성 2025.03.14

지구 온난화, 저궤도 위성 배치 공간 82% 감소 가능성(3.12)

AP통신이 MIT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저궤도(LEO: Low Earth Orbit)에 위성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82%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유와 배경대기 밀도의 증가온난화가 진행되면 성층권과 중간권의 기온이 변화하면서 대기의 밀도가 달라집니다.대기 밀도가 높아지면 저궤도를 도는 위성들의 저항이 커져, 위성이 더 빨리 궤도를 이탈하거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우주 쓰레기 증가위성들이 예상보다 빨리 궤도를 벗어나면서 충돌 위험이 커지고, 우주 쓰레기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이는 새로운 위성을 발사하고 배치하는 데도 제약을 가할 수 있습니다.위성 운용 비용 상승궤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연료가 필요하고, 위성의 설계와 운영 비용이 ..

우주와 위성 2025.03.13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대해 알아볼까?

국제우주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은 여러 국가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거대한 우주 연구 시설로, 저궤도(고도 약 400km)를 돌며 다양한 과학 실험과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구축 경과 -초기 구상(1984년)미국이 "프리덤(Freedom)"이라는 독자적 우주정거장을 계획.예산 문제와 기술적 난제로 인해 국제 협력 방안으로 변경.국제 협약(1993년)미국, 러시아, 유럽 우주국(ESA), 일본, 캐나다가 참여하여 공동 개발 결정.러시아의 "미르-2" 우주정거장 기술이 통합됨.조립 및 확장(1998~2011년)1998년 11월: 첫 모듈 "자랴(Zarya)" 발사 (러시아 제작, NASA 자금 지원).2000년 11월: 첫 번째 장기 체류 승무원 도착, 상시 운..

우주와 위성 2025.03.09

위성인터넷 서비스-스타링크(StarLink)

스타링크(Starlink)란?스타링크(Starlink)는 **스페이스X(SpaceX)**가 개발 및 운영하는 저궤도(LEO, Low Earth Orbit) 위성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전 세계 어디에서나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스타링크 위성 이미지 1. 스타링크의 개요운영사: 스페이스X(SpaceX)출시 연도: 2019년 (베타 서비스 시작)목적: 전 세계 어디서든 접속 가능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 제공위성 수: 현재(2025년 기준) 약 5,500여 개 이상 발사됨 (최대 42,000개까지 계획)운영 방식: 저궤도(LEO, 약 550km)에서 다수의 위성이 지구를 돌며 인터넷 신호를 중계 2. 스타링크의 특징 (1) 저궤도 위성 기반 인터넷기존 위성 인터넷(고궤도, GEO)이 ..

우주와 위성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