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링크(Starlink)란?
스타링크(Starlink)는 **스페이스X(SpaceX)**가 개발 및 운영하는 저궤도(LEO, Low Earth Orbit) 위성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전 세계 어디에서나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스타링크 위성 이미지
1. 스타링크의 개요
- 운영사: 스페이스X(SpaceX)
- 출시 연도: 2019년 (베타 서비스 시작)
- 목적: 전 세계 어디서든 접속 가능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 제공
- 위성 수: 현재(2025년 기준) 약 5,500여 개 이상 발사됨 (최대 42,000개까지 계획)
- 운영 방식: 저궤도(LEO, 약 550km)에서 다수의 위성이 지구를 돌며 인터넷 신호를 중계
2. 스타링크의 특징
(1) 저궤도 위성 기반 인터넷
- 기존 위성 인터넷(고궤도, GEO)이 35,786km에서 운영되는 반면, 스타링크는 550km 저궤도에서 운영됨.
- 저궤도이기 때문에 지연 시간(레이턴시, Latency)이 낮음 (20~40ms 수준).
- 기존 위성 인터넷(600ms 이상)보다 빠른 속도를 제공.
(2)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 지상 기지국과 멀리 떨어진 오지, 산간지역, 해양, 극지방 등에서도 인터넷 사용 가능.
- 재난 지역이나 군사용 목적으로도 활용.
(3) 위성 네트워크 확장성
- 6세대 위성(Starlink V2)부터는 직접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 (2024년부터 테스트 시작).
- 위성 간 레이저 링크(광통신) 기술을 활용해 지상 기지국 없이도 데이터 전달 가능.
(4) 기존 인터넷보다 높은 가격
- 장비 비용(스타터 키트): 약 499달러
- 월 사용료: 약 120달러 (일반 소비자용 기준)
- 기업 및 정부용 서비스는 더 높은 가격대
3. 스타링크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전 세계 어디서나 인터넷 사용 가능
- 빠른 속도 (100~300Mbps,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 1Gbps)
- 낮은 지연 시간(Low Latency)
-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 시 긴급 통신망 역할
- 해외 원정, 선박, 비행기, 군사 작전 등에 유용
❌ 단점
- 비싼 가격 (초기 장비 비용과 월 사용료)
-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장애물 간섭 문제 발생
- 천문학적 문제 (천문대 관측 방해, 우주 쓰레기 문제)
- 국가별 규제 (중국, 러시아 등 일부 국가는 서비스 제한)
4. 주요 활용 사례
- 우크라이나 전쟁 (2022년)
- 러시아의 인터넷 차단 속에서도 우크라이나 군과 시민들이 스타링크로 통신 유지.
- - 항공 & 해양 서비스
- 일부 항공사와 크루즈 선박에 스타링크가 탑재되어 인터넷 제공.
- 오지 및 산간 지역 인터넷 제공
- 아프리카, 남극, 시베리아 등 인터넷 인프라 부족 지역에서 사용 중.
- 재난 대응
- 허리케인, 산불, 지진 등 긴급 상황에서 복구 작업에 활용.
5. 스타링크의 미래 전망
-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 가능한 위성 개발 (2024년부터 테스트 시작)
- 더 많은 위성 발사로 서비스 품질 개선 및 가격 인하 기대
- NASA 및 군사 계약 확대 (미국 국방부, 일본 방위성 등과 협력)
- 다른 기업과의 경쟁 심화 (아마존 ‘Project Kuiper’, 중국 ‘G60 스타링크’ 등)
위성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1. 아마존 -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
- 운영사: 아마존(Amazon)
- 목표: 스타링크와 유사한 저궤도(LEO) 위성 인터넷 서비스 제공
- 계획 위성 수: 3,236개
- 현재 상황:
- 2023년 10월, 첫 번째 위성 발사 성공
- 2024~2029년까지 본격적인 위성 네트워크 구축 예정
- 2025년부터 상업 서비스 개시 목표
✅ 특징
-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AWS)와 연계하여 기업용 인터넷 서비스 확대 가능성
- 스타링크보다 저렴한 가격 전략 가능성
2. 원웹(OneWeb)
- 운영사: 원웹(OneWeb, 영국)
- 목표: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 현재 위성 수: 약 648개(2023년 기준)
- 협력사: 영국 정부, 에어버스, 소프트뱅크, 인도 바르티 글로벌(Bharti Global)
✅ 특징
- 기업 및 정부 기관 대상 B2B 위성 인터넷 서비스 중심
- 스타링크보다 위성이 적지만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
- 2023년 Eutelsat과 합병, 유럽 시장에서 영향력 확대
3. Viasat (비아샛)
- 운영사: Viasat Inc. (미국)
- 위성 유형: 정지궤도(GEO) 위성 인터넷 서비스
- 대표 서비스:
- ViaSat-1, ViaSat-2, ViaSat-3 위성을 이용한 광역 인터넷 서비스
- 항공기 Wi-Fi, 군사 및 해양 인터넷 서비스 제공
✅ 특징
- 스타링크보다 높은 고도(약 35,786km)에서 운영 → 위성 수 적음
- 저궤도보다 지연 시간(Latency) 길지만 안정적인 서비스
- 인공위성이 적어 초기 투자 비용이 낮음
4. 휴즈넷(HughesNet)
- 운영사: EchoStar (미국)
- 위성 유형: 정지궤도(GEO) 위성
- 목표 시장: 미국 및 남미 지역의 시골·오지 인터넷 공급
- 속도: 최대 50Mbps (스타링크보다 느림)
✅ 특징
-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제
- 미국 농촌 지역 대상 인터넷 공급 주력
- 스타링크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적인 인터넷 제공
5. 중국 - 홍운 프로젝트 (Hongyun) & G60 스타링크
- 운영사: 중국항천과기그룹(CASC), 중국 정부
- 계획 위성 수: 홍운 프로젝트(156개), G60 스타링크(12,992개 예정)
- 목표: 중국 및 동남아, 아프리카 대상 인터넷 서비스 구축
✅ 특징
- 중국 정부가 운영하는 국가 주도형 위성 인터넷
- 2025년까지 일부 위성 인터넷 서비스 시작 목표
- 스타링크의 대안으로 중국 내에서 사용될 가능성 큼
6. Telesat (텔레샛) - 라이트스피드 (Lightspeed)
- 운영사: Telesat (캐나다)
- 계획 위성 수: 약 198개 (LEO)
- 목표 시장: 기업, 정부, 해양 및 항공 인터넷 서비스
- 서비스 개시 예정: 2026년 이후
✅ 특징
- 기업 및 정부 대상 프리미엄 서비스
- 스타링크보다는 소규모지만 고속·저지연(50ms 이하) 인터넷 제공
- 2026년부터 본격적인 서비스 예정
7. Eutelsat (유텔샛)
- 운영사: Eutelsat (프랑스)
- 위성 유형: 정지궤도(GEO) & 저궤도(LEO) 혼합 서비스
- 최근 변화: 2023년 OneWeb과 합병하여 LEO 기반 서비스 확대
✅ 특징
- 유럽 및 아프리카 대상 위성 인터넷 서비스 강화
- 기존 GEO 서비스에 LEO 기술 추가해 경쟁력 확보
* 주요 위성 인터넷 업체 비교
서비스
|
운영사
|
위성 유형
|
위성 수
|
속도 & 특성
|
스타링크
|
스페이스X
|
저궤도 (LEO)
|
5,500개+
|
빠름 (100~300Mbps), 개인용 & 군사용
|
프로젝트 카이퍼
|
아마존
|
저궤도 (LEO)
|
3,236개 (예정)
|
2025년 상업 서비스 시작
|
원웹
|
원웹 (Eutelsat)
|
저궤도 (LEO)
|
648개
|
기업 및 정부 대상
|
비아샛
|
Viasat
|
정지궤도 (GEO)
|
3개+
|
속도는 낮지만 안정적, 항공/군사용
|
휴즈넷
|
EchoStar
|
정지궤도 (GEO)
|
2개+
|
저렴한 요금, 미국 농촌 대상
|
홍운/G60
|
중국 정부
|
저궤도 (LEO)
|
12,992개 (예정)
|
중국 자체 인터넷망
|
텔레샛
|
Telesat (캐나다)
|
저궤도 (LEO)
|
198개 (예정)
|
기업 및 정부 대상
|
유텔샛
|
Eutelsat
|
정지궤도(GEO) & 저궤도(LEO)
|
혼합
|
유럽 중심 시장
|
'우주와 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공동개발 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 발사 성공(3.12.) (0) | 2025.03.05 |
---|---|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Blue Ghost)’ 달 표면 착륙 성공('25. 3.2.) (0) | 2025.03.05 |
방위사업청-우주항공청, 우주 분야 민군사업 협력 강화 (0) | 2025.03.05 |
우리나라 초소형위성 개발 (0) | 2025.03.05 |
중국의 우주개발 추진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