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와 위성

2024 주요 국가별 ​ 항공우주 제조업 매력도 순위​

hsddunk 2025. 4. 11. 20:24

PwC의 제10차 항공우주 제조업 매력도 순위평가는 항공우주 및 방위(A&D, Aerospace & Defense) 산업 발전에 유망한 국가를 분석하고 순위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https://www.pwc.com/kr/ko/insights/industry-focus/aerospace-manufacturing-attractiveness-rankings.html

 

2024 주요 국가별 ​ 항공우주 제조업 매력도 순위​

PwC의 제10차 항공우주 제조업 매력도 순위평가는 항공우주 및 방위(A&D) 산업 발전에 유망한 국가를 분석하고 순위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PwC가 제시한 본 순위는 기업이 전략적 목표와 운영 요건

www.pwc.com

현재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수요입니다. 오늘날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이 직면한 가장 우려스러운 문제 중 하나는 티타늄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입니다. 현재 항공우주 및 방산 제조업에 대한 또 다른 불확실한 요소는 미국 규제환경의 변화입니다. 글로벌 항공 화물 산업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고 있습니다.

 

PwC 항공우주 제조업 매력도 순위(https://www.pwc.com/)

 

올해 순위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미국과 싱가포르의 부동의 입지입니다. 두 국가는 2018년 이후 줄곧 3위권을 유지하며 글로벌 A&D 산업을 선도해왔습니다. 한국, 캐나다, 일본 역시 2015년 평가 도입 이래 상위 5위권을 꾸준히 지키며 글로벌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다져왔습니다. 상위5개국외 주요국들의 동향으로 올해 유럽과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상위 5개국을 제외한 여러국가에서도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특히 방위산업제조 부문에 대한투자 전망이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미국 : A&D산업은 미국의 경제 성장, 고용,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 분야로 정부 지원 및 해외 투자 활발

  • 세제 개혁으로 A&D를 포함한 대기업들의 실효세율 감소 (평균 22% à 12.8%)
  • 2030년까지 1조 달러 이상을 투입하여 핵전력 현대화 프로그램 개발로 A&D 인력 확대 개발 예정
  • 미국 항공우주 산업에 대한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등의 해외직접투자(FDI) 금액은 22년 말 169억 달러 기록 

싱가포르 : 지리적 이점을 극대화한 인프라 투자로 항공우주 성장 동력 확보 

  • 글로벌 MRO 시장의 10% 이상을 점유.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25% 이상의 점유율로 최고의 항공 허브로서 입지 강화 
  • 긴밀한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항공우주 R&D, 생산 및 제조, 유통의 핵심 거점으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 (셀레타 항공우주 단지, 창이 공항 동부 단지 등)

한국 : 정부 주도의 적극적인 방위산업 육성을 통한 글로벌 방위산업 수출국으로 부상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무기 수출량 74% 증가로 2024년에 세계 9위 무기 수출국으로 도약
  • HD현대중공업, 한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국내 주요 기업은 글로벌 민간항공 및 MRO 분야 시장에서 제품 평가 및 수출 성과 모두 우수
  • 한국항공우주밸리 산업클러스터를 통한 외국인 투자 기회 확보

캐나다 : 수출 지향적 A&D 산업 R&D 투자 활발 및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 관계 활발 

  • A&D 제조 매출의 80% 이상이 수출이며, 이 중 60% 이상이 공급망 관련 매출 
  • R&D 자본 및 장비 투자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세제 혜택으로 몬트리올은 세계 3대 항공우주 허브 도시로 입지 강화. 항공우주와 MRO R&D 적극 투자 
  • 태평양 북서부 항공우주 연합(PNAA) 협력, 북미 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 현대화 계획 수립 등 미국과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일본 : 군사장비 수출 규제 원칙 개정 및 방위산업 확대 계획을 통한 산업 경쟁력 회복

  • 정부안전보장능력강화지원(OSA) 기반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 방위물자 공급 약속
  • 영국, 이탈리아와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Global Combat Air Programme) 사업 체결
  •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기업에 정부 주도 금융 지원 정책 확대 

 

투자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PwC 제10차 주요 국가별 항공우주제조업 매력도 순위(2024년)”에서 노동력 분야 등이 높게 평가된 우리나라가 미국, 싱가포르에 이어 3위권에 위치하고 있음은 고무적인 결과입니다. 아울러, 동 리포트는 인공위성에 대한 세계의 의존도가 끊임없이 증가하는 상황에 비추어 “우주산업(space sector)”이 더 이상 민간 및 군사 항공과 별도로 간주될 수 없음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방산업체는 비즈니스의 “기간”을 연장하는 MRO(Maintenance · Repair · Overhaul) 시장에 주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산업의 “공간” 영역을 확대하는 우주 진출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발표한 무기체계 분야별 기술 수준 조사결과(2023년 기준)에 따르면 한국우주무기체계의 기술력은 최고선진국대비 70% 내외의 중진권 수준을 보이고 있어 향후 새로운 패권경쟁의 전장이 될 우주산업에서 해외기술에 의존하게 될 우려가 있습니다. 유망 기술을 개발 · 보유 중인 우주스타트업과의 협력 · 투자를 통해 기술력 확보 및 시장 진출을 고려해야 할 때입니다.

 

현재 상위권에 위치한 국가들은 이러한 중요한 변화에 발맞춰 긍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24년 우주항공청(KASA, Korea AeroSpace Administration)을 출범하며 2045년 우주항공 5대 강국 진입을 목표를 표방한 바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민간에 대한 우주개발지원을 주요 운영방향으로 제시하며 우주항공산업을 국가 주력 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어 민간기업의 우주산업 참여가 대폭 확대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