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은 세계 경제 포커스에서 "인도의 우주 산업 육성 현황과 시사점"을 4.14일 발간했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인도의 우주 개발 동향
▶ 인도는 최근 우주 산업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글로벌 우주 경쟁(Space Race)에서 주요 행위자로 급부상하고 있음.
▶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 2023년 달 남극 착륙
- 2024년 태양 관측 위성 발사
- 2025년 우주 도킹 성공 등 주요 탐사 프로젝트를 연이어 성공적으로 수행
- 위성통신·발사체 등 상업 부문에서도 빠르게 경쟁력을 확보
일자 | 분야 | 내용 | 의의 |
2023. 8. 23. | 달 탐사 | 찬드라얀 3호(Chandrayaan-3) 달 남극 착륙 | - 세계 최초 달 남극 착륙 - 달 착륙에 성공한 세계 네 번째 국가1) |
2023. 9. 2. | 태양 관측 | 태양 관측용 인공위성 아디티아-L1(Aditya-L1) 발사 성공 |
- 인도 첫 태양 관측 미션 |
2023. 10. 21. | 유인 탐사 | 지구 저궤도 유인 우주선 가가얀(Gaganyaan) 시험발사 |
- 유인 우주탐사 기반 확보 |
2024. 1. 1. | X-선 관측 | X-선 편광 관측 위성 XPoSat 발사 성공 | - NASA 이후 세계 두 번째 성공 |
2025. 1. 16. | 유인 탐사 및 우주 정거장 건설 |
극궤도위성발사체(PSLV)인 쌍둥이 위성 Chaser와 Target의 우주 도킹 성공 |
우주 도킹에 성공한 세계 네 번째 국가 |
찬드라얀 3호(Chandrayaan-3) 달 남극 착륙
태양 관측용 인공위성 아디티아-L1(Aditya-L1) 발사 성공
지구 저궤도 유인 우주선 가가얀(Gaganyaan) 시험발사
X-선 편광 관측 위성 XPoSat 발사 성공
2. 우주 산업 정책 전환 주요 내용
▶ 2020년 이후 인도는 우주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면서 정부 주도에서 민간·시장 중심 구조로 전환하고 있음.
- 「인도우주정책 2023」을 통해 민간의 우주 산업 참여를 공식화하고, 거버넌스 체계를 전면 개편하여 연구개발(ISRO),
사업 승인 및 진흥(IN-SPACe), 상업화(NSIL)로 주요 기구의 기능을 분리함.
- 해외직접투자(FDI) 규제 완화, 벤처펀드 조성 등 글로벌 자본 유입과 민간 주도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있음.
▶ 국제정세 변화와 시장 수요에 대응해 대외협력 방식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있으며, 정부 간 탐사 협력과 민간과의 산업 협력을
함께 추진하고 있음.
- 2022년 이후 러시아와의 협력이 중단되자, 인도는 미국(NASA)과의 공동 유인 비행·위성 개발 협력을 확대하고 프랑스·
일본·ESA(유럽우주기구) 등과의 전략적 협력도 강화하고 있음.
- 민간 부문에서도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협력, 투자 유치 등 실질적 산업 협력이 확대되는 추세임.
3. 평가 및 시사점
▶ 인도가 민간 주도 산업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우주 부문의 기술혁신과 산업역량을 강화한 사례는 한국의
정책 방향 설정에 유의미한 참고가 될 수 있음.
▶ 한국은 인도와 상호보완적이고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여 국내 우주 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전략적 기반을
마련해나가야 함.
- 발사체·탐사·관측 등 인도와의 기술 격차가 존재하는 분야에서는 상호보완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양자 및 다자 협의 채널 을 통해 실질적 협력을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음.
'우주와 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각 나라별 우주 기구 (0) | 2025.04.16 |
---|---|
우주항공청, 우주탐사 역량 확대를 위한 전문가 자문위원단 출범(4.15) (0) | 2025.04.15 |
블루 오리진의 열한 번째 우주 관광 발사(4.14), 모두 여성 (1) | 2025.04.14 |
아이작먼의 NASA 대표 지명 배경과 향후 전망 (0) | 2025.04.11 |
G-드래곤, 카이스트와 협업해 음성메시지 '우주로' 송출(4.10)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