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와 위성

국토교통부(국토위성센터), 우주에서 본 우리나라 4.9부터 홈페이지에

hsddunk 2025. 4. 9. 21:33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49일부터 국토위성에 대한 모든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국토위성센터 홈페이지(https://nlsc.ngii.go.kr)을 새롭게 개설해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국토위성 운영 현황, 주요 산출물, 영상 비교 등을 한곳에서 제공하며 국토위성 정보의 활용성과 관심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위성의 촬영 및 영상처리 프로세스(출처 : https://nlsc.ngii.go.kr)

 ‘국토위성은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재난 대응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협력하여 개발한 국내 독자 정밀관측 위성으로, 국토위성 1(차세대중형위성 1)’213월에 발사되어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다

위성정사영상 산출물(출처 : https://nlsc.ngii.go.kr)

 

위성정사영상 처리 과정 (출처 : https://nlsc.ngii.go.kr)

 현재 국토위성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운영과 활용을 담당하고, 이를 통해 확보된 고해상도 위성영상(0.5m)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공간정보 구축, 국토변화 모니터링, 재난 대응, 도시계획, 환경 및 산림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3월 발생한 전국 산불에 대응하여 접근이 어려운 피해지역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토위성으로 경북 의성, 경남 산청 등 산불지역을 촬영하였으며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에 제공하였다.


 

 

 기존에 국토지리정보원 누리집(ngii.go.kr)과 국토정보플랫(map.ngii.go.kr)에 나뉘어 제공되던 국토위성 관련 정보를 한곳에 모아 제공함으로써, 국민 누구나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홈페이지에는 국토위성 및 주요 산출물 소개 운영 현황 홍보자료(동영상, 소식지 등) 위성기반 재난정보 양한 정보를 한눈에 제공한다.

 

  또한 한반도 배경화면 서비스 국토변화 영상 비교 해외 주요 도시 국토위성 영상 제공 등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흥미롭게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어, 위성정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국토위성(1, 2)

사업개요

  (근거)차세대중형위성 1단계* 개발사업계획(‘14.12, 국가우주위)

        - 국토·농업·산림·수자원·재난 등 공공 부분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 개발을 목표로 차세대중형위성               시리즈 개발*

           *1단계12(국토부) /2단계3(과기부), 4(농진청, 산림청), 5(환경부)

 

국토위성 1호 이미지

 

참고 :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의 의의

1. 국내 최초의 중형위성으로서 기술 국산화율(본체 86%, 탑재체 98%)이 높음
2. 중형위성 표준 플랫폼 마련(1호기 플랫폼을 2, 4, 5호기에도 적용)
3. 위성제작 핵심기술 민간이전(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산업())

 

국토위성 개요 및 위성 제원

   ㅇ (목적) 국토이용ㆍ자원관리, 재난 대응 국가공간정보 활용을 위해 과기부와 공동으로 500kg정밀지상관측 위성 2기 개발

       - 과기부 주관 부처로서 위성 본체 개발, 우리부위성 활용 부처로서 탑재체(광학카메라 해상도 : 흑백 0.5m, 컬러 2.0m) 개발 담당

  ㅇ (기간/예산) ’15.3.’25.12./2,575.9억원

  ㅇ (개발주체) 1호는 항공우주연구원, 2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 1호기는 ‘21.3월 발사 완료, 2호기는 25년 발사 예정

구 분 개발 규격 위성체 형상 및 운영궤도
해상도 흑백 0.5m, 컬러 2.0m*
* 컬러 : 청색, 녹색, 적색, 근적외선
고도 / 관측폭 497.8km / 12km 이내
국토위성 공전주기 95(15회 공전/)
한반도 촬영주기 3~4/1(1기당 약 100초 촬영)
한반도 전역촬영주기 6~12개월(구름 등 기상영향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