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와 위성

주한 미 우주군(U.S. Space Forces Korea), '자유의 방패 25' 참여

hsddunk 2025. 3. 15. 21:50

**주한 미 우주군(U.S. Space Forces Korea, USSF-K)**는 2022년 12월 14일 공식적으로 창설된 미국 우주군(USSF)의 해외 배치 부대로, 주한 미군(USFK) 예하 조직입니다. 이는 미국이 우주 영역에서의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고,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는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주한 미 우주군(U.S. Space Forces-Korea)이 지난 10일부터 시작된 한미연합군사훈련인 ‘자유의 방패 25’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태 사령부는 주한 미 우주군은 이번에 처음으로 ‘합동우주작전센터(Combined Joint Space Operations Center(CJSpOC))’를 구축해 훈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령부는 ‘합동우주작전센터’에는 군사 우주 정찰 지원 작전을 위해 상업적으로 보강된 능력으로 제공하는 ‘합동상업작전(Joint Commercial Operations(JCO)) 조직’이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 주한 미 우주군 창설 배경 및 목적

주한미 우주군 부대마크(사진=BBC)

1) 창설 배경

  • 우주 군사력 강화: 미국은 2019년 12월 20일 우주군(USSF)을 창설하며, 우주를 전장으로 간주하고 이를 보호·운영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중국·러시아의 우주 위협 대응:
    • 중국과 러시아는 인공위성 공격 능력을 개발 중이며, 미국의 우주 기반 감시 및 통신 시스템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북한도 장거리 미사일 및 위성 기반 감시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 주한 미 우주군이 필요했습니다.
  • 동맹국과의 협력 강화: 한국군과의 공조를 통해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정보 공유와 위협 대응 역량을 증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주요 임무

주한 미 우주군의 역할은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우주 작전 수행 및 지원입니다.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사일 경보 및 감시
      •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탐지 및 추적
      • 미사일 방어체계(THAAD, Aegis BMD 등)와의 연계
    2. 위성 통신 및 정보전 지원
      • 한미 연합군에 안정적인 위성 통신 제공
      • 한국군과의 정보 공유 강화
    3. 우주 기반 감시·정찰 수행
      • 정찰 위성을 이용해 북한 및 주변국의 군사 활동 감시
      • 우주 자산 보호 및 운영(미국 인공위성 방어)
    4. 전자전 및 사이버전 대응
      • 적국의 위성 교란 공격 및 전자전 위협 감시
      • 한반도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군사 통신 및 네트워크 보호

2. 부대 규모 및 조직 구조

1) 부대 규모

  • 초기 병력: 약 20~30명 규모
  • 확장 가능성: 향후 우주 관련 임무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병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2) 조직 및 지휘 체계

  •  상급 부대 : 주한 미군(USFK) 예하 부대

         - 미국 우주군 인도·태평양 사령부(USSF INDOPACOM) 산하

  • 지휘관:  창설 당시 초대 지휘관: 조슈아 맥컬리언 중령(Lt. Col. Joshua McCullion)
  • 주둔지: 평택 캠프 험프리스(Camp Humphreys) – 주한 미군 본부가 위치한 곳

3. 주한 미 우주군의 역할과 한국군과의 협력

1) 한국군과의 협력

주한 미 우주군은 한국군과의 우주 작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한미 연합군의 우주 정보 공유 강화
  • 북한 미사일 탐지 및 대응을 위한 실시간 정보 교환
  • 2023년 한미 연합 우주 훈련 및 연습 확대

한국도 2022년 8월 한국군 내 ‘우주작전대대’를 창설하여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역할

  • 주일 미군 우주군(USSF-Japan)과 협력: 일본 요코타 공군기지에 주둔
  • 괌, 하와이 등 태평양 지역의 미군 우주작전 지원
  • 중국과 러시아의 우주 군사력 확장 대응

4. 향후 전망 및 중요성

1) 향후 전망

  • 우주작전 능력 강화:
    • 첨단 위성 감시 기술 도입
    • 인공지능(AI) 기반 위협 탐지 시스템 적용
  • 한미일 우주 협력 확대:
    • 한미일 3국 간 우주 감시·미사일 경보 체계 구축 가능성
  • 주한 미 우주군 확대 가능성:
    • 미사일 방어, 위성 감시, 전자전 대응 등 다양한 임무 추가될 가능성

2) 주한 미 우주군의 전략적 중요성

  •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실시간 감시
  • 중국·러시아의 우주 작전 능력 견제
  •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우주 군사력 주도

종 합

주한 미 우주군(USSF-K)은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우주 작전을 수행하는 핵심 부대로, 북한의 미사일 위협 감시, 우주 기반 정찰·통신 지원, 전자전 대응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현재 소규모 부대로 운영되고 있지만, 향후 확장 가능성이 크며 한국군과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강화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