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와 위성

일본의 위성개발 능력과 추진현황

hsddunk 2025. 3. 6. 22:38

일본은 지난 수십 년간 우주 개발 역량을 꾸준히 축적하여, 위성 개발 및 발사체 분야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008년 5월 우주기본법을 기반으로 설립된 우주개발전략본부는 우주 산업 진흥과 방위 목적을 포함한 우주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위성 개발은 국민 생활 향상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상위성, 방송·통신위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구 관측 위성은 지구 환경 변화 및 재해 시 상황 파악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미국의 GPS 위성은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은 독자적인 지역 위성항법시스템인 준천정위성시스템(QZSS)을 개발하여 지상 위치정보의 고정밀도 측위를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

준천정위성시스템(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개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준천정위성시스템)은 일본이 개발한 **위성 항법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으로, 일본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GPS(미국의 글로벌 위성항법 시스템)의 신호를 보완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QZSS 운영 경로


QZSS의 주요 특징

  1. 준천정 궤도(Quasi-Zenith Orbit)
    • QZSS의 위성들은 8자(figure-eight) 모양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일본 상공에 일정 시간 동안 머물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최소 한 개 이상의 위성이 일본 상공에 항상 위치하도록 하여 도심이나 산악 지역에서도 GPS 신호 수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GPS 보완 및 고정밀 측위 기능
    • 미국의 GPS 시스템과 호환되며, GPS 보정 신호를 제공하여 더욱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 QZSS 위성에서 L1, L2, L5 대역의 신호를 송출하여 GPS 신호를 보강하고, 일본 내 수평 위치 오차를 1m 이하로 줄일 수 있습니다.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연구에 따르면, QZSS를 활용하면 최대 6cm 수준의 정밀한 측위 성능도 가능합니다.
  3. 다양한 활용 분야
    • 위치정보 서비스(PNT, Positioning, Navigation, Timing)
    • 재난 대응: 지진, 쓰나미 등 재난 발생 시 긴급 경보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
    • 스마트 농업 및 자율주행 기술: 농업 기계 및 차량의 고정밀 내비게이션
    • 드론 및 로봇 공학: 정밀 측위 기능을 활용한 무인 항공기 및 로봇 이동 제어

운영 현황 및 향후 계획

  • QZSS는 2010년 최초 위성 ‘미치비키(Michibiki)’를 발사하였으며, 이후 추가 위성을 발사하여 현재 4기의 위성이 운영 중입니다.
  • 2024년까지 3기를 추가 발사하여 총 7기 체제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 향후 일본은 독자적인 GNSS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QZSS를 확장할 예정이며, 이는 미국 GPS 의존도를 낮추고 보다 안정적인 위성 항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QZSS의 미래 전망

  • 일본 정부는 QZSS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드론 배송, 스마트 시티 등의 첨단 기술을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 또한, 인도,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협력하여 시스템을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키울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리

✔️ 일본이 개발한 고정밀 위성 항법 시스템
✔️ GPS 신호 보강 및 정확도 향상
✔️ 일본 상공에 항상 위성이 위치하도록 설계된 준천정 궤도 사용
✔️ 자율주행, 재난 대응, 스마트 농업, 드론 등 다양한 분야 활용
✔️ 2024년까지 7기 체제로 확장 예정

QZSS는 일본 내 위치정보 기술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향후 독자적인 글로벌 위성항법시스템(GNSS) 구축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

 

 

최근 일본은 새로운 주력 로켓인 H3를 개발하여 방위 위성 및 항법 위성의 발사에 성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주 수송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일본 우주로켓 개발 역사, 맨 우측이 H3로켓(2024)
 

또한, 일본의 미쓰비시 중공업은 프랑스의 위성 기업인 유텔샛(Eutelsat)과 H3 로켓 발사 계약을 체결하여 국제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유텔샛(Eutelsat) 개요

**유텔샛(Eutelsat S.A.)**은 프랑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위성 운영 기업으로, 유럽,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아메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위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 설립 연도: 1977년
📍 본사 위치: 프랑스 파리
📍 주요 사업: 위성 방송, 인터넷 서비스, 데이터 통신, 항공 및 해상 연결
📍 운영 중인 위성: 약 35기 이상


유텔샛의 주요 사업 분야

  1. 위성 방송(TV 및 라디오)
    • 유텔샛의 위성 네트워크는 전 세계 7,000개 이상의 채널을 방송하며, 유럽 및 중동 지역에서 주요 위성 TV 서비스 공급자로 활동 중입니다.
    • 주요 고객: 스카이(Sky), BBC, 알자지라, 프랑스 24 등
  2. 인터넷 및 데이터 서비스
    • 유럽 및 아프리카 등 광대역 인터넷이 취약한 지역에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 KA-SAT과 같은 고속 데이터 전송 위성을 활용하여 기업 및 정부 기관에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
  3. 항공 및 해상 인터넷
    • 항공기와 선박에서 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위성 기반 연결 서비스 제공
    • 주요 고객: 항공사(터키항공, 에어프랑스 등), 크루즈 및 해운 회사
  4. 정부 및 국방 서비스
    • 유럽 및 기타 국가 정부 기관과 협력하여 국방, 보안, 재난 대응 관련 위성 서비스 제공
    • 군사 통신, 원격 감시, 긴급 대응 시스템 지원

유텔샛의 최근 동향

  1. 영국 원웹(OneWeb)과 합병(2023)
    • 2023년, 영국의 저궤도 위성 기업 '원웹(OneWeb)'과 합병하여, 저궤도(LEO) + 정지궤도(GEO) 혼합 위성 네트워크 구축
    • 기존 유텔샛은 정지궤도(GEO) 위성 중심이었으나, 원웹과의 협력을 통해 저궤도(LEO) 기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
    • 유텔샛 원웹은 스타링크(스페이스X), 프로젝트 카이퍼(아마존)와 경쟁하는 유럽 기반의 주요 저궤도 위성 인터넷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
  2. H3 로켓을 통한 위성 발사 계약(2024)
    •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MHI)의 H3 로켓을 이용해 향후 유텔샛 위성 발사 계약 체결
    • 일본의 신형 로켓을 활용하여 향후 유럽 및 아시아 시장 확장 가능성
  3. 아프리카 및 중동 시장 확대
    • 아프리카, 중동 등 인터넷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저궤도 위성 인터넷 보급 확대

유텔샛의 미래 전망

✔️ 원웹과의 합병을 통해 저궤도(Low Earth Orbit, LEO) 위성 인터넷 시장 진출
✔️ GEO + LEO 혼합 네트워크 구축 → 글로벌 위성 인터넷 서비스 강화
✔️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시장 확대 및 새로운 위성 발사 프로젝트 추진
✔️ 스타링크(스페이스X), 아마존 카이퍼와 경쟁하며 위성 인터넷 산업에서 입지 강화

유텔샛은 전통적인 방송·통신 위성 운영을 넘어, 저궤도(LEO) 위성 인터넷과 글로벌 데이터 네트워크 사업으로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

 

그러나 일본의 우주 스타트업인 스페이스 원(Space One)은 최근 두 차례의 로켓 발사 실패를 겪으며, 민간 우주 산업 분야에서 도전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일본은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을 통해 위성 개발 및 우주 산업 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우주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