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노스, 북 서해 위성발사장 도로 및 레일 확장 지속 중(3.21.)
38노스는 최근 촬영된 상업용 위성 사진을 근거로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북한이 서해 위성발사장의 동쪽 터널 입구와 해안 발사대 및 남쪽 항구를 연결하는 도로 확장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봄이 되면 따뜻한 날씨와 부드러운 지반이 확보됨에 따라 북한 서해위성발사장 전역으로 도로와 철도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상업용 위성 사진에 따르면 동쪽 터널 입구와 해안 발사대, 남부 항구를 연결하는 새로운 도로, 즉 레일 베드를 절단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차량이나 발사 자재가 개성공단의 여러 지역을 쉽게 오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As springtime brings warmer weather and softer ground, work to expand the road and rail infrastructure throughout North Korea’s Sohae Satellite Launching Station continues. Recent commercial satellite imagery indicates that efforts to cut a new road, or possible rail bed, connecting the east tunnel entrance with the coastal launch pad and southern seaport are underway, which could allow for vehicles or launch materials to easily travel to and from the various parts of the complex.
2024년 5월 만리경 1-1 정찰위성 발사 실패 이후 알려진 위성 발사는 시도된 적이 없습니다. 2024년 말 한국 정보에 따르면 북한이 러시아의 협조를 받아 또 다른 발사를 할 준비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상대 당국에 발사 통보를 하지 않았으며, 현장에서 관측되는 발사 임박 징후는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2024년에 정찰위성 3기를 궤도에 진입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이 계획을 완료하기 위한 노력이 재개될지, 아니면 2025년에 새로운 목표 위성 발사 횟수가 발표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No known satellite launches have been attempted since the failed launch of the Malligyong-1-1 reconnaissance satellite in May 2024. Despite South Korean intelligence reports in late 2024 that North Korea likely received cooperation from Russia and appeared ready to conduct another launch, Pyongyang has made no launch notifications to relative authorities, and there are no typical indicators of an imminent launch observed at the site. Pyongyang announced plans in 2024 to place three reconnaissance satellites into orbit, but failed to achieve that goal. Whether efforts to complete that plan will be resumed or a new target number of satellite launches will be announced for 2025 remains to be s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