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와 위성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대해 알아볼까?

hsddunk 2025. 3. 9. 10:25

국제우주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은 여러 국가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거대한 우주 연구 시설로, 저궤도(고도 약 400km)를 돌며 다양한 과학 실험과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제우주정거장

- 구축 경과 -

  1. 초기 구상(1984년)
    • 미국이 "프리덤(Freedom)"이라는 독자적 우주정거장을 계획.
    • 예산 문제와 기술적 난제로 인해 국제 협력 방안으로 변경.
  2. 국제 협약(1993년)
    • 미국, 러시아, 유럽 우주국(ESA), 일본, 캐나다가 참여하여 공동 개발 결정.
    • 러시아의 "미르-2" 우주정거장 기술이 통합됨.
  3. 조립 및 확장(1998~2011년)
    • 1998년 11월: 첫 모듈 "자랴(Zarya)" 발사 (러시아 제작, NASA 자금 지원).
    • 2000년 11월: 첫 번째 장기 체류 승무원 도착, 상시 운영 개시.
    • 이후 추가 모듈 장착을 거쳐 2011년까지 주요 조립 완료.
  4. 현재(2025년까지 연장 운영)
    • 지속적인 보수 및 모듈 추가로 연구 시설 확충.
    • 미국, 러시아, 일본, 유럽, 캐나다 등 15개국 참여.

- 분야별 참여국가 -

 1. 주요 모듈 개발 및 제공국

자랴(Zarya) 🇷🇺 러시아 최초 발사된 모듈, 전력 및 추진 시스템 담당
유니티(Unity) 🇺🇸 미국 최초의 미국 모듈, 연결통로 역할
서비스 모듈(즈베즈다, Zvezda) 🇷🇺 러시아 생활 공간 제공, 추진 및 자세 제어
데스티니(Destiny) 실험 모듈 🇺🇸 미국 ISS의 핵심 연구실 역할
콜럼버스(Columbus) 실험 모듈 🇪🇺 유럽(ESA) ESA가 개발한 연구 모듈
키보(Kibo) 실험 모듈 🇯🇵 일본 일본이 개발한 대형 실험실, 로봇 팔 포함
쿼폴라(Cupola) 관측 모듈 🇪🇺 유럽(ESA) 7개의 창을 통해 지구와 우주를 관측
트랜퀼리티(Tranquility) 모듈 🇪🇺 유럽(ESA) 생명유지 시스템 및 쿼폴라 포함
비글로우 확장 모듈(BEAM) 🇺🇸 미국 민간(비글로우 에어로스페이스) 개발, 팽창식 모듈 실험

 2. 우주선 발사 및 보급 지원국

승무원 수송 🇺🇸 미국 스페이스X 크루 드래곤, 보잉 CST-100 스타라이너
  🇷🇺 러시아 소유즈(Soyuz)
화물 보급 🇺🇸 미국 스페이스X 드래곤, 노스롭그루먼 시그너스
  🇷🇺 러시아 프로그레스(Progress)
  🇯🇵 일본 HTV(코노토리, 현재는 HTV-X 개발 중)
  🇪🇺 유럽 ATV (운영 종료)

3. 과학 실험 및 연구 협력국

생물학 및 의학 연구 🇺🇸 🇷🇺 🇪🇺 🇯🇵 🇨🇦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생명체 변화 연구
소재 및 신소재 개발 🇺🇸 🇯🇵 🇪🇺 우주 환경에서 새로운 합금, 나노소재 개발
유인 탐사 기술 실험 🇺🇸 🇷🇺 🇪🇺 차세대 우주복, 폐쇄형 생명유지 시스템 연구
우주 방사선 연구 🇺🇸 🇷🇺 🇪🇺 🇯🇵 장기간 우주 체류 시 방사선 영향 분석
로봇 공학 및 자동화 🇨🇦 🇺🇸 🇯🇵 캐나다암(Canadarm2), 일본 로봇팔 개발

4. 로봇 기술 및 유지보수

캐나다암2 (Canadarm2) 🇨🇦 캐나다 로봇팔, 화물 이동 및 유지보수 작업 지원
데스트렉스(Dextre) 🇨🇦 캐나다 정밀 로봇, ISS 외부 수리 작업 수행
일본 로봇팔 (JEMRMS) 🇯🇵 일본 키보 모듈에 장착, 실험 장비 조작

5. 향후 대체 계획 및 참여국

ISS 운영 연장 (2028~2030년) 🇺🇸 🇪🇺 🇯🇵 🇨🇦 기존 ISS 유지 및 점진적 민간 이전
러시아 독자 우주정거장(ROS) 🇷🇺 러시아 2027년 이후 구축 예정
중국 톈궁(天宮) 우주정거장 🇨🇳 중국 2022년 완공, 독립 운영
민간 우주정거장 (Axiom, Orbital Reef) 🇺🇸 미국 NASA 지원으로 민간 기업이 개발 중

- ISS 주요 스펙 -

전체 길이 72.8m
전체 폭 108.5m
질량 약 420톤
궤도 고도 약 400km
공전 속도 약 28,000km/h (90분마다 지구 1회 공전)
승무원 수 3~7명 (최대 10명)
전력 공급 태양광 패널 (250kW 이상)

 


- 현재 위치는? -(실시간 위치추적)

  1.   www.isstracker.com

   2. https://www.n2yo.com/

 

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Select any satellite orbiting the Earth and check where it is located now

www.n2yo.com

 

 

- 향후 ISS 운영 계획 -

  1. 운영 연장 (2028~2030년)
    • 미국 NASA는 최소 2030년까지 ISS를 운영할 계획.
    • 기존 모듈의 노후화로 유지보수 비용 증가.
  2. 민간 기업 참여 확대
    •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등 민간 기업이 ISS 운영 및 보급 임무를 수행.
    • NASA는 민간 우주정거장 개발을 지원하여 ISS 이후를 대비.

- 대체 방안 -

  1. 국가별 독자 정거장 개발
    • 중국 "톈궁(天宮)": 2022년 완공, 독자 운영.
    • 러시아 "ROS(Russian Orbital Station)": 2027년 이후 개발 예정.
    • 인도 "Bharatiya Antariksh Station": 2035년까지 구축 목표.
  2. 민간 우주정거장
    • 아마존(블루오리진) "오비탈 리프(Orbital Reef)" (2030년대 초반 목표)
    • 액시엄 스페이스(Axiom Station): 2026년 첫 모듈 ISS에 도킹 예정.
  3. 지구 저궤도(LEO) 연구 플랫폼
    • NASA는 ISS 이후 소규모, 모듈형 우주정거장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우주 연구 지원 계획.

- 결 론 - 

  • ISS는 2030년까지 운영 예정이며, 이후 폐기 또는 재활용 가능성이 있음.
  • 중국, 러시아, 인도 등 독자적인 우주정거장 개발이 가속화됨.
  • 민간 기업 중심의 차세대 우주정거장 시대가 열릴 전망.

우리나라도 우주개발에 적극 참여하고자 하는 정책과 투자가 필요하다.